
Remixing Timespace video still ©Minha Park.
Remixing
Timespace
24min, HD, 싱글채널비디오, b&w + color, stereo sound, commissioned by Leeum Samsung Museum of Art, 2016.
Remixing Timespace (2016) explores humanity’s ongoing attempts to transcend two of our greatest limitations: time and Earth itself. What stood out the most in this work were the pieces of music humanity has sent into space. The video features music launched into space in 1970s, music videos, and even a track transmitted from Mars to Earth in 2013. Incorporating these sounds—along with references like Afrofuturism—the video takes the form of a nonlinear music video. If the Golden Record reflects the ritualistic and utopian dreams of space and the future that humanity held up until the 1970s, then Reach for the Stars (2013) symbolizes the industrialized fantasies of space shaped by tech corporations in the 21st century.
Remixing Timespace - Tomorrowland
yellow lighting, 2 monitor installations, 24min each, 4 b&w printed photos, commissioned by Leeum Samsung Museum of Art, 2016
24min, HD, 싱글채널비디오, b&w + color, stereo sound, commissioned by Leeum Samsung Museum of Art, 2016.
Remixing Timespace (2016) explores humanity’s ongoing attempts to transcend two of our greatest limitations: time and Earth itself. What stood out the most in this work were the pieces of music humanity has sent into space. The video features music launched into space in 1970s, music videos, and even a track transmitted from Mars to Earth in 2013. Incorporating these sounds—along with references like Afrofuturism—the video takes the form of a nonlinear music video. If the Golden Record reflects the ritualistic and utopian dreams of space and the future that humanity held up until the 1970s, then Reach for the Stars (2013) symbolizes the industrialized fantasies of space shaped by tech corporations in the 21st century.
Remixing Timespace - Tomorrowland
yellow lighting, 2 monitor installations, 24min each, 4 b&w printed photos, commissioned by Leeum Samsung Museum of Art, 2016
리믹싱 타임스페이스
24분, HD, 3 채널비디오, 흑백+컬러, 스테레오 사운드, 리움삼성미술관 커미션, 2016
〈리믹싱 타임스페이스〉 는 우리에게 가장 도전적인 한계점인 ‘시간’과 ‘지구’ 를 넘어서려는 인류의 계속적인 시도에 대한 이야기이다. 작업에서 가장 주목한 것은 인류가 우주로 보낸 음악들이었다. 영상 속에는 70년대 우주로 보낸 음악, 뮤직비디오, 2013년에 화성에서 지구로 전송된 음악들이 등장한다. 이 음악들을 비롯해, 아프로 퓨쳐리즘 등 다양한 레퍼런스를 담은 영상은 일종의 비선형적 뮤직비디오 형식을 취한다. Golden Record가 1970년대 이전까지 우주와 미래에 대한 인류의 제의적, 유토피아적 환상을 보여준다면, 2013년의 Reach for the Stars는 2000년대 이후 IT기업들이 생산해내는 미래와 우주에 대한 산업적 판타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리믹싱 타임스페이스 - 내일의 땅24분, HD, 3 채널비디오, 흑백+컬러, 스테레오 사운드, 리움삼성미술관 커미션, 2016
24분, HD, 3 채널비디오, 흑백+컬러, 스테레오 사운드, 리움삼성미술관 커미션, 2016
〈리믹싱 타임스페이스〉 는 우리에게 가장 도전적인 한계점인 ‘시간’과 ‘지구’ 를 넘어서려는 인류의 계속적인 시도에 대한 이야기이다. 작업에서 가장 주목한 것은 인류가 우주로 보낸 음악들이었다. 영상 속에는 70년대 우주로 보낸 음악, 뮤직비디오, 2013년에 화성에서 지구로 전송된 음악들이 등장한다. 이 음악들을 비롯해, 아프로 퓨쳐리즘 등 다양한 레퍼런스를 담은 영상은 일종의 비선형적 뮤직비디오 형식을 취한다. Golden Record가 1970년대 이전까지 우주와 미래에 대한 인류의 제의적, 유토피아적 환상을 보여준다면, 2013년의 Reach for the Stars는 2000년대 이후 IT기업들이 생산해내는 미래와 우주에 대한 산업적 판타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리믹싱 타임스페이스 - 내일의 땅24분, HD, 3 채널비디오, 흑백+컬러, 스테레오 사운드, 리움삼성미술관 커미션, 2016

Installation
view of exhibition “ARTSPECTRUM 2016”at Leeum
Samsung Museum, 2016. Courtesy of LEEUM.

Installation
view of exhibition “ARTSPECTRUM 2016”at Leeum
Samsung Museum, 2016. Courtesy of LEEUM.